📋 목 차 
편두통의 정의
편두통의 증상
편두통의 원인
편두통 관리법

 

편두통의 정의

편두통이란 흔히 발생하는 두통 중 하나로, 주로 머리 한쪽에서 두통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지만, 머리 양쪽에서 두통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편두통은 전체 인구 중 7~10% 정도에서 나타나며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유병률이 다르지만,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3배가량 많이 발생하고 그중에서도 주로 젊은 여성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편두통의 증상

✔️ 머리 한쪽 또는 양쪽에서 뛰는 듯한 박동성 통증 

✔️ 빛, 소리, 냄새에 대한 민감성 및 불편감

✔️ 신경과민 및 불안, 우울 등의 감정 변화

✔️ 피로감, 무기력감 증가 및 집중력 저하

✔️ 안구통 및 목, 어깨 주변 경직

✔️ 식욕 이상(식욕 부진, 갈증, 식욕 증가 등)

✔️ 시각 이상(어두워짐, 번쩍이는 빛, 시야 흐림, 아지랑이 등)

✔️ 어지럼증, 메스꺼움 및 구토

 

편두통의 원인

편두통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다음과 같은 여러 요인이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1. 유전적 요인

▫️편두통은 상당한 빈도로 가족력을 보이는 경향이 있어 부모나 직계 가족 중 편두통을 앓고 있는 사람이 있다면 발병 확률이 높습니다. 또한 특정 유전자의 변이가 편두통 발병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가 있으며 이는 뇌의 신경전달물질이나 혈관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신경과 혈관의 변화

▫️뇌의 신경전달물질 변화

세로토닌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의 변화가 편두통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언급되는데, 세로토닌의 변화는 뇌신경 회로에 영향을 미치고 뇌혈관의 수축과 확장을 자극해 편두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뇌의 염증 반응

뇌의 염증 반응이 편두통과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 뇌의 특정 부위 및 뇌혈관에서 염증이 발생해 통증 신호가 증폭될 수 있습니다.

▫️뇌혈관의 변화

편두통은 뇌혈관의 수축과 확장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수축 단계에서 혈류가 일시적으로 감소하고 확장 단계에서 혈류가 증가하며 극심한 혈류 변화로 인해 통증이 발생합니다. 또한 편두통 발병 시 뇌혈관과 연결되어 있는 삼차신경(trigeminal nerve)이라는 신경 경로가 자극받아 통증 신호를 뇌에 전달하면서 강한 두통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혈관 확장 및 염증 반응이 강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호르몬 변화

▫️편두통과 호르몬 변화는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특히 여성에게서 발생하는 편두통이 호르몬 변화와 관련이 깊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월경, 임신, 폐경 등의 경우에 호르몬 수치가 변화하며 편두통을 유발할 수 있는데 에스트로젠 수치가 급격히 떨어질 때 편두통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에스트로젠은 세로토닌 수치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에스트로젠의 수치가 급변하면 뇌혈관의 수축과 확장이 불규칙해지고 이에 따라 삼차신경이 자극받아 편두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4. 환경적 요인

▫️기상 변화 : 기온, 기압, 습도 등의 급격한 변화

▫️감각 자극 : 빛(강한 빛, 눈 부신 빛, 깜빡이는 빛 등), 소리(시끄러운 소리, 강한 소음 등), 냄새(강한 냄새, 향수 냄새, 페인트 냄새, 화학적 냄새, 음식 냄새 등)

▫️스트레스 : 정서적, 육체적 스트레스로 인한 호르몬 변화, 신경전달물질 이상, 근육 경직

▫️특정 음식 : 초콜릿, 치즈, 카페인, 술(특히 레드 와인), 인공 감미료 등

▫️환경 오염 : 대기 오염 및 대기 중 화학 물질(자동차 배기가스, 산업 화학물질 등)

▫️전자기기 사용 : 장시간의 컴퓨터 및 휴대전화 사용으로 눈의 피로, 목과 어깨의 긴장 유발

 

편두통 관리법

1. 약물 치료

▫️진통제 : 이부프로펜, 아세트아미노펜 등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 통증 완화 및 염증 감소

▫️트립탄 계열 약물 : 세로토닌 수용체에 작용하여 혈관을 수축해 편두통 완화

▫️예방 약물 : 베타 차단제, 칼슘 채널 차단제, 항우울제, 항경련제 등

 

 

2. 비약물적 관리

▫️생활 습관 개선 : 규칙적인 수면 패턴 유지, 명상, 운동 등을 통한 스트레스 관리

▫️식습관 개선 : 편두통을 유발하는 특정 음식(초콜릿, 치즈, 카페인, 술, 가공식품 등)을 피하고 균형 잡힌 식습관 유지, 충분한 수분 섭취

▫️유발 환경 관리 : 급격한 온습도 변화 주의, 강한 빛과 소음, 냄새 노출 주의

▫️전문의 상담 : 증상이 심할 경우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 진행 후 적절한 치료 진행

 

오늘은 편두통의 증상과 원인, 관리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편두통은 많은 분이 겪는 질환이면서도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기도 합니다. 편두통이 발병하는 데는 생리적 요인이 작용하기도 하지만 여러 환경적 요인 또한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생활 습관 및 식습관을 개선하고 자극적인 주변 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면 편두통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